일을 하다보면 원격 데스크톱 앱을 쓸 일이 생기곤 한다. 보통 사용하는 것은 구글 원격 데스크톱(https://remotedesktop.google.com/)인데, 이번 케이스의 문제는 arm64의 젯슨에서는 지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. 사실 라즈베리파이를 원격 제어할 때 쓰는 VNC Viewer가 있있는데, 까맣게 잊고 있었다. 여차저차해서 찾아낸 것이 NoMachine(https://www.nomachine.com/)이다. 나중에 알게 된 내용이지만, VNC보다 NoMachine이 웬만하면 더 빠르고 좋다고 한다.
https://downloads.nomachine.com/
├─ Windows
│ ├─ 32-bit (x86)
│ └─ 64-bit (x64)
├─ Mac
│ └─ only for Intel Processor (추정)
├─ Linux
│ ├─ i386
│ ├─ i686
│ ├─ x86_64
│ └─ amd64
├─ Raspi
│ ├─ ARMv6
│ ├─ ARMv7
│ └─ ARMv8
├─ ETC.(ex. Nvidia Jetson)
│ └─ arm64
└─ Mobile
├─ iOS
└─ Android
결과적으로 내가 설치한 환경은
- 윈도우10 데스크탑 (64-bit)
- 젯슨 오린 (arm65)
- 아이폰 12 미니 (iOS)
이다.
설명이 필요없을만큼 내부 네트워크에서 서로 연결이 쉬웠다. 내부 네트워크에서 바로 연결가능한 장치를 찾아서 보여주기 때문이다. 하지만 나는 외부에서 접속해야 했는데, 연결이 잘 되지 않았다.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이나 인바운드 규칙 등 여러가지 건드려 보았지만 헛수고... 그러다가 아래와 같이 해결할 수 있었다.




- (기본값) 내부 주소만 사용 가능한 상태이다.
- 포트 설정에서 설정할 포트 클릭하고 configure 클릭한 후,
- 체크박스 2개 활성화 시키면,
- 첫 화면에 외부 주소도 리스트업 된다. (모자이크 주의 ㅋ)
다소 간단한 해결을 바로 하지 못한 이유는 첫 스크린샷은 윈도우에서의 예시인데, 젯슨에서는 첫 스크린샷과 달리 nx://127.0.0.1:4000 같은 외부 주소가 가용 주소로 리스트업 되어 있었다. 버그거나 유료 전환 후 사용할 수 있는 주소일거라고 추측해본다.
728x90
'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PT기반 카카오톡 AI챗봇 해몽해드림 개발기 1(미완성) (1) | 2024.02.10 |
---|---|
Selenium 이용하여 Edge브라우저에서 XPath로 다음 Element 얻기 (1) | 2024.01.06 |
파이썬 개발자의 플러터 개발환경셋업 (MacOS, VSCode) (0) | 2023.06.26 |
라즈베리파이 VNC 'Cannot currently show the desktop' 해결 (0) | 2023.05.12 |
논문 리뷰. Efficient Adaptive Ensembling for Image Classification (0) | 2023.03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