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0대는 노후 준비도 중요하지만, 갑작스러운 지출에 대응할 수 있는 유동성 확보도 필수입니다.
이 전략은 세액공제 혜택을 챙기되, 자산이 과도하게 묶이지 않도록 여유 자금 범위 내에서 납입하는 현실적인 투자 방법입니다.
🔍 전략 요약
단계 | 계좌 | 납입액 예시 | 이유 |
---|---|---|---|
1단계 | 연금저축 | 600만 원 이내의 여유 자금 | 세액공제 혜택 + 자금 유동성 확보 |
2단계 | IRP | 300만 원 이내의 여유 자금 (단, 연금저축 600만원 납입시!) |
추가 세액공제 확보 |
3단계 | ISA | 최대 2,000만 원 | 유동성 + 비과세 수익 |
💬 포인트:
연금저축과 IRP는 각각 최대 세액공제 한도(600, 300만 원)가 있지만,
모든 금액을 납입할 필요는 없습니다.
자신의 자산 상황에 맞춰, 자금이 묶여도 괜찮은 수준만 납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.
🪜 이렇게 실천하세요
- 연금저축: 최대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되지만,
→ 여유 자금 범위 내에서 납입 - IRP: 연금저축과 합쳐 최대 900만 원 공제되므로,
→ 연금저축에 600만원 납입하는 경우에만, 300만 원 이하로 납입 권장 (자금 유동성 고려) - ISA 투자:
- 남은 자금은 ISA로 투자
- 수익 200만 원까지 비과세 (서민형의 경우 400만원)
- 3년만 유지하면 자유롭게 인출 가능
- ISA 만기 후 연금계좌로 이전
→ 이전 금액의 10% 추가 세액공제 혜택 (최대 300만 원)
🧠 기억할 것
- 무조건 한도 채우는 것이 정답이 아닙니다.
- 내 자산 중 일부는 유동성 있게 굴릴 수 있어야 합니다.
- 세액공제도 챙기고, 자금 운용도 유연하게 하려면 분산 납입 + ISA 활용이 현명한 전략입니다.
✅ 요약
- 연금저축/IRP는 여유 자금 범위에서만 납입해 세액공제 확보
- ISA는 유동성 + 비과세 혜택 + 연계 세액공제까지 가능
- 전략적 순서와 금액 배분으로, 절세 + 자산 운용을 모두 챙길 수 있습니다
'생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채 투자, 암탉과 달걀로 완벽 이해하기 – 초보자도 쉽게 채권 마스터 (0) | 2025.04.27 |
---|---|
[리뷰] 아이패드 6세대 → A16 11세대 교체 후기 – 자녀 교육용으로 만족한 선택 (0) | 2025.04.15 |
2024년 회고 (1) | 2025.01.01 |
세이노의 가르침 Ep.내 학력이 초라하게 느껴질 때 (1) | 2023.03.22 |
세이노의 가르침 Ep.앞길이 보이지 않을 때 (0) | 2023.03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