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/Raspberry Pi

PCIe 완전정리: Gen2~Gen4 세대별 속도, 라즈베리파이 SSD 활용 가이드

Hugh Q Lee 2025. 5. 23. 00:12

컴퓨터 SSD나 고성능 보드를 보다 보면 꼭 등장하는 용어, PCIe (피씨아이 익스프레스).
하지만 이게 뭔지, 왜 중요한지 감이 잘 안 잡히셨다면 이 글이 도움이 될 거예요.
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는 PCIe의 기본 개념, 세대별 차이부터 라즈베리파이와 젯슨 등 실전 활용까지 쉽고 간단히 정리해봅니다.


📘 PCIe란 무엇인가요?

PCIe (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)는 컴퓨터 메인보드와 SSD, 그래픽카드, AI 가속기 같은 장치를 빠르게 연결해주는 통신 규격입니다.
속도와 확장성이 뛰어나 현재 대부분의 고성능 장치가 이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


🚄 PCIe 세대별 속도 비교 – Gen2부터 Gen4까지

PCIe는 세대(Generation)가 올라갈수록 속도가 빨라지며, 레인(Lane) 수에 따라 데이터 전송량이 늘어납니다.

세대 레인당 속도 x1 (1레인) x4 (4레인, SSD용)
PCIe Gen 2 0.5 GB/s 0.5 GB/s 2 GB/s
PCIe Gen 3 1.0 GB/s 1 GB/s 4 GB/s
PCIe Gen 4 2.0 GB/s 2 GB/s 8 GB/s

💡 참고: SSD에 가장 많이 쓰이는 건 x4입니다. 일반 작업에는 Gen3 SSD도 충분하지만, 대용량 영상 편집이나 AI 작업에서는 Gen4의 성능이 유리합니다.


📦 M.2, NVMe SSD와 PCIe는 어떤 관계?

M.2는 SSD나 Wi-Fi 모듈을 꽂는 물리적인 슬롯 이름이고, 이 슬롯 안에서 PCIe 또는 SATA 방식이 사용됩니다.
요즘 NVMe SSD는 M.2 슬롯에서 PCIe 기반으로 작동하며, 매우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.

  • M.2 + PCIe → NVMe SSD (빠름)
  • M.2 + SATA → 일반 SSD (느림)

➡️ 장착 전에 메인보드 또는 보드가 NVMe 지원인지 꼭 확인하세요!


🛠 라즈베리파이 5에서 PCIe SSD 사용하기

라즈베리파이 5는 PCIe Gen 2 x1 레인을 제공합니다. 이를 통해 SSD, AI 가속기 등을 확장할 수 있는데, 기본 보드에는 슬롯이 없기 때문에 확장 HAT이 필요합니다.

    • 기본 연결: PCIe Gen2 x1 (0.5 GB/s)
이 포스팅은 알리 어필리에이트 활동의 일환으로,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.
    • Seeed Studio 확장 보드:
      • 라즈베리파이 5용 PCIe 3.0 스위치 탑재 듀얼 M.2 확장 보드, NVMe SSD 및 Hailo-8 / 8L AI 가속기 지원
      • 라즈베리파이 5용 PCIe 2.0 기반 듀얼 M.2 확장 HAT, NVMe SSD 및 Hailo-8 / 8L
  • 추천 SSD: 라즈베리파이 공급 전원 이슈로 저전력 SSD
  • 주의: SSD가 Gen4여도 최대 성능은 Gen2 또는 Gen3로 제한됨

🤖 Jetson Orin Nano에서 PCIe SSD 사용하기

Jetson Orin Nano는 AI 작업용 보드이며, PCIe Gen3 x4를 지원합니다. 이 정도면 대부분의 NVMe SSD를 성능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전력 공급에 이슈가 없는 지만 확인하면 좋을 것 같아요.


✅ 마무리 요약 – 어떤 SSD를 선택할까?

  • 일반 PC 사용자: Gen3 SSD로 충분 (가성비 우선)
  • 영상 편집, 게임용: Gen4 SSD 추천 (속도 중요)
  • 라즈베리파이 5 사용자: 기본은 Gen2지만, 확장보드 사용 시 Gen3 SSD도 실용적.
  • Jetson Orin Nano 사용자: Gen3 x4 SSD 적극 활용 가능

PCIe의 세대와 레인 수만 잘 파악해도 장비 선택이 쉬워집니다.
SSD 업그레이드나 보드 확장을 고민 중이라면, 이 포스트가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😊